티스토리 뷰

반응형

미 FDA 사이트를 참조하여 관련된 정보를 계속 적어보고 있습니다. 미국 식약청 공식 홈페이지에는 신약 개발과 관련된 5단계와, 각 단계별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네요. 이번 글에서 집중할 것은 정말 마지막의 5단계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시장에 상용화 된 이후 FDA와 어떻게 협업하는지, 그 과정과 내용에 대한 정보에요. 그럼 한번 시작해볼께요!

 

임상 시험 이후는 어떻게 될까?

 

임상 시험에서 완벽한 결과를 도출했더라도, 약물의 상용화 승인은 별개의 문제에요. 실험이 아무리 완벽했더라도, 상용화를 위한 안정성과 효능 검증은 별개라는 거죠. 물론 실험하는 전 과정에 있어 개발 주체는 온 심혈을 기울였을 거에요. 혹시나 빠진 거라도 있을지, 효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되는지에 대해서요. 하지만, 실제 사고란 건 언제 어디에서 터질 지 모르는 거기 때문에, 이후 상황에 대해서 100%완벽한 예측이란 있을 수 없답니다.

 

때문에, 약품의 안전성에 대한 이슈는 제품이 출시되고 난 이후에 완성되는 걸 볼수 있어요. 실제로 대중에게 퍼진 이후, 여러 컴플레인이나 문제 제기가 들어올 수 있겠죠? 출시된 약물은 이런 과정 속에서 몇 달이나 몇 년의 기간을 거치면서 보다 완전해지게 된답니다. FDA는 이러한 과정 속에서 여러 조치들을 권고하고, 수정하게 되요.

 

승인 신청 이후 NDA 변경

이전 글에서 잠깐 소개드렸던 NDA라는 신청서 있죠? 신청 이후 이 서류의 중대한 부분들을 변경하려면 별도의 신청을 따로 해야 해요. 여기서 말하는 중대한 부분들의 수정이란, 라벨의 수정이나 1회 투입 용량과 강도에 대한 부분들이 포함될 수 있겠네요. 제품의 제형 또한 중대한 문제로 분류된답니다.

 

제조업체 검사

이 내용은 만약 승인된 약품의 제조국가가 미국이 아닌 국가일 경우에 해당되어요. 만약, 승인된 약물에 대한 설계도가 외국에서 제작된다면, 이 외국 제조 시설에 대해 주기적으로 검사를 시행하게 되어요. 반도체 시장에서 팹리스가 반도체의 설계도를 그리고, 이걸 제조해주는 업체가 따로 있는 것처럼 의약업계도 이런 경우를 흔히 볼 수 있죠? 우리가 알고 있는 삼성바이오로직스 또한 해외 설계된 약물을 대신 제조해주는 업체이구요.

반응형
댓글
반응형